jfif 파일을 다른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용한 방법은 윈도우 기본 프로그램 중 사진 그리고 그림판을 이용하였으며 png, jpeg, gif 등 자주 사용하는 확장자로 이미지를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jfif 파일 변환 방법 1. 윈도우 사진 이용
jfif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기본 프로그램인 윈도우의 사진 프로그램으로 연결되면 상단의 (...)으로 보이는 '자세히 보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자세히 보기에는 여러 메뉴들이 다시 보이는데요. 여기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합니다. 그 다음은 윈도우 탐색기에서 파일을 저장할 폴더를 선택한 다음 jfif 파일의 포맷(확장자)을 변경하고 싶은 포맷으로 한번 더 선택하시면 됩니다.
jfif 파일 변환 방법2. 윈도우 그림판
윈도우 사진 프로그램 말고 다른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그림판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jfif 파일에 마우스를 가져간 다음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눌러 연결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다시 그림판을 선택합니다.
그림판 프로그램의 상단 메뉴에서 왼쪽 끝에 위치한 파일 메뉴의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합니다.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의 포맷에는 png, jpeg, bmp, gif 등의 확장자가 있습니다.
jfif 파일 변환 방법 3. 요약
잘 사용하지 않는 jfif 파일을 만들거나 받으신 경우 자주 사용하는 다른 이미지 포멧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본 포스팅에서 사용한 방법은 '사진'이라는 윈도우 기본 프로그램과 윈도우 그림판을 이용하였습니다.
윈도우의 사진과 그림판은 기능도 매우 다르고 변환할 수 있는 이미지 파일의 포맷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png, jpeg, gif 등 변환을 원하는 파일 확장자로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지 직접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럼 지금까지 jfif 파일 변환 방법에 대해서 윈도우 사진 프로그램과 그림판 프로그램 순으로 설명드렸습니다. 저의 경우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jfif란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게 되어 이용해 보았습니다. 추가로 아래에 이미지를 AI로 만들거나, 배경을 지우거나, 내용을 번역하는 도구에 대한 바로가기 글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처리 관련 글 바로가기
[무비 Movie] - AI 챗봇으로 이미지 만드는 방법 feat. 코파일럿
AI 챗봇으로 이미지 만드는 방법 feat. 코파일럿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을 이용해서 AI 챗봇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코파일럿 홈페이지를 활용했으며 최초의 이미지 생성 프롬프트
johblack.tistory.com
[IT 인터넷 통신] - 윈도우 사진 AI로 지우는 방법
윈도우 사진 AI로 지우는 방법
윈도에 기본 사진 앱을 이용하면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여 이미지의 특정 부분을 지우는 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부분을 사용할 사진이나 이미지에서 제거하는 데 활용해 보시
johblack.tistory.com
[IT 인터넷 통신] - 이미지 배경 제거 방법 (feat. remove.bg)
이미지 배경 제거 방법 (feat. remove.bg)
가지고 계신 이미지의 배경을 제거해야 되는데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온라인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용한 온라인 도구는 리무브 백그라운드이며 홈페이지
johblack.tistory.com
[IT 인터넷 통신] - 이미지 내용 번역 방법 (카카오톡 아숙업 활용)
이미지 내용 번역 방법 (카카오톡 아숙업 활용)
이미지에 들어있는 텍스트 내용을 번역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방법은 카카오톡 아숙업(AskUp) 챗봇 채널을 이용하는 방법이며 영어뿐 아니라 다양한 언어로 번역이 가능하고 요약
johblack.tistory.com
'IT 인터넷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루오 AI 첫 사용법 (0) | 2025.04.21 |
---|---|
구글 이메일 라벨로 분류하는 방법 (0) | 2025.04.15 |
ChatGPT 확장 프로그램 사용법 (0) | 2025.04.14 |
캡컷 PC 사용법 (0) | 2025.04.10 |
인포크링크 멀티링크 사용법 (0) | 2025.04.02 |
댓글